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ogin
- linkedhastset
- 플러그인
- 구글
- 워드프레스
- post
- router
- 데이터베이스
- set
- addallattributes()
- 구글알고리즘
- firebase
- db
- Polylang
- HttpSession
- GET
- JPA
- @Controller
- ChatGPT
- @Query
- mergeattributes()
- @Entity
- 인텔리제이
- useEffect
- GA4
- @Repository
- 리액트오류
- SEO
- 구글애널리틱스
- Thymeleaf
- Today
- Total
목록구글알고리즘 (3)
개발천재

구글 펭귄(Penguin) 알고리즘이란?펭귄(Penguin) 알고리즘은 2012년 4월 24일 도입된 검색 알고리즘 업데이트이다. 펭귄 알고리즘은 스팸 링크 또는 링크 조작을 잡아내기 위해 만든 알고리즘이다.(왜 이름이 펭귄인지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내용이 없음) SEO에 대해 기본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백링크가 많은 페이지일수록 검색 결과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펭귄 알고리즘의 도입으로 인해 지나친 백링크 삽입은 구글 검색결과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나친 링크 삽입, 글자수를 채우기 위해 부문별한 키워드의 삽입 또는 반복되는 키워드의 삽입은 이 알고리즘에 본인의 컨텐츠가 좋지 않은 사이트임을 알리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구글 펭귄 알고리즘의 목적..

구글 판다(Panda) 알고리즘이란? 판다 알고리즘은 고품질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웹사이트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순위 시스템이다. 품질이 낮은 콘텐츠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검색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판다 알고리즘은 2011년 2월 23일 출시되었다. 판다 알고리즘은 품질이 낮은 콘텐츠의 순위를 떨어뜨리거나, 검색 결과에서 제외시키며, 고품질의 콘텐츠를 상단에 노출시킨다. 따라서 웹사이트 운영자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와 최상의 경험을 전달하는데 주목해야한다. 판다 알고리즘 맞춤 콘텐츠 만들기 고품질의 콘텐츠 제작하기 품질이 떨어지는 콘텐츠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방문자에게 부정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방문자가 원하는 정보가 없는 콘텐츠가 저품질의 콘텐츠로 구분될 수 있지만 콘텐츠의 길이..

페이지 경험(page experience)이란? 페이지 경험이란 사용자가 페이지를 방문한 시간 동안 경험하는 것을 토대로 웹페이지의 품질을 정하는 것이다. 사이트의 응답성, 상호작용, 보안 및 속도에 초점을 맞춘 데이터를 수집한다. 페이지 경험의 목적은 콘텐츠와 관계없이 웹페이지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을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웹페이지에서 좋은 경험을 느낄수록 구글 순위는 높아진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웹사이트를 방문했는데 그 웹사이트가 온갖 광고로 도배가 되어있고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면 사용자는 좋은 경험을 갖지 못할 것이다. 구글을 페이지 경험이 SERP 순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에 페이지 경험을 개선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일 중 하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