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ath variable
- GET
- 리액트오류해결
- 구글
- GA4
- addcorsmappings()
- 구글알고리즘
- @emaiil
- Login
- addresourcehandlers()
- 인텔리제이
- ChatGPT
- addinterceptors()
- 구글애널리틱스
- router
- configuremessageconverters()
- Thymeleaf
- post
- configureviewresolvers()
- handlerintercepter
- Polylang
- 리액트오류
- SEO
- firebase
- @range
- 워드프레스
- useEffect
- 플러그인
- 데이터베이스
- web-vitals
- Today
- Total
목록2025/02/17 (4)
개발천재

Hibernate 이해하기Hibernate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와 객체를 연결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데이터를 자바 객체(클래스 형태)로 다루면서, 이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하면, 자바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번역기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바 객체는 언어를 잘하는 사람이고, 데이터베이스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해 보자. 이 두 사람은 서로 소통할 필요가 있지만,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대화가 되지 않는다. 이 두 사람 사이에 자동 번역기 역할을 하는 것이 Hibernate이다. 자바 객체가 이야기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나온 결과를 자바 객체로 다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Hibern..

DB 정보를 환경변수로 등록하는 이유DB 연결할때 username과 password는 외부로 노출되면 안되기 때문에 환경변수로 등록해서 사용한다.DB 사용자 이름(username)과 비밀번호(password)는 중요한 보안 정보이다. 만약 코드에 직접 작성하면, 깃허브 같은 곳에 코드가 올라갔을 때 누구나 DB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변수에 DB_USERNAME과 DB_PASSWORD를 등록해두고, application.properties나 application.yml에서 불러와서 사용한다.#MySQL 연결 설정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com.mysql.cj.jdbc.Driver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

@Table 이해하기@Entity는 “이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이라고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Hibernate나 JPA가 이 이름표를 보고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Table은 “이 클래스가 어떤 테이블과 연결될지 이름표를 붙여주는 역할”을 한다. 자바 클래스 이름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이름이 다를 때 어떤 테이블과 연결될지 Hibernate에게 알려줘야 하기 때문에 @Table 클래스를 사용한다.만약 클래스 이름이 User인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이름이 member라면 @Table(name = "member")라고 적어서 “이 클래스는 member 테이블과 연결될 거야!”라고 알려주는 것이다. 자바 코드에서 User 객체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면, 실제로는 member 테..

application.properties에서 설정하기Spring Boot에서 application.properties나 application.yml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파일을 통해 서버 설정, 데이터베이스 연결, 로깅, 파일 업로드, 보안 설정 등을 모두 관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특정 설정을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방식을 맞춤 설정할 수도 있다. application.properties는 마치 스마트폰의 설정 앱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설정 앱에서 와이파이, 소리, 화면 밝기 등을 조절하듯이, application.properties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서버 포트, 로그 수준, JPA 설정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