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Thymeleaf
- firebase
- 구글애널리틱스
- JPA
- 인텔리제이
- @Controller
- GET
- router
- mergeattributes()
- 리액트오류
- 구글
- 플러그인
- @Entity
- addallattributes()
- @Repository
- db
- set
- linkedhastset
- GA4
- 워드프레스
- useEffect
- @Query
- HttpSession
- ChatGPT
- post
- 구글알고리즘
- Login
- SEO
- Polylang
- 데이터베이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1/09 (1)
개발천재

GET 방식과 POST 방식브라우저와 서버간에 주고받는 주요 요청방식이다. Http 프로토콜이 제공해주는 7가지 메서드들 중 웹서비스 개발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GET 방식GET 요청은 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할 때, 주로 웹 페이지나 API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사용된다. GET 방식은 URL 뒤에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고 브라우저에 자동으로 캐싱된다. 따라서 GET 방식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노출되어도 상관없을 때 사용한다. GET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데이터 조회에 적합하다.GET 방식은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최적화 되어있다. 서버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사이트 내에서 검..
개발 준비
2025. 1. 9. 10:36